최근 고금리 시대가 이어지면서 안전자산을 찾는 투자자들이 크게 늘어나고 있습니다. 은행 예금과 적금만으로는 만족스럽지 않은 상황에서, 금리형 ETF는 단기적인 유동성 확보와 안정적인 수익을 동시에 잡을 수 있는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단기 투자 목적이나 여유 자금을 잠시 ‘세워두는’ 방식의 파킹형 ETF가 인기를 끌면서, 다양한 금리형 ETF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금리형 ETF에는 어떤 종류가 있으며, 각각 어떤 특징과 장단점이 있을까요?
이번 글에서는 미국 SOFR 연동 ETF, 국내 KOFR 기반 ETF, MMF형 ETF, 국내 CD금리 연동 ETF까지 최신 정보를 기준으로 정리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1. 흔들리는 시장 속 안정적인 피난처, 금리형 ETF란?
변동성이 큰 주식 시장이나 답답한 저금리 예적금 사이에서 안정성과 수익성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고 싶은 투자자분들이라면 '금리형 ETF'에 주목하실 때입니다.
금리형 ETF는 채권 중에서도 단기성 우량 채권이나 기업어음(CP), 양도성예금증서(CD), 환매조건부채권(RP) 등 안전자산에 투자하여 시장 금리에 연동된 수익을 추구하는 상장지수펀드(ETF)를 의미합니다.
일반 주식처럼 거래소에 상장되어 실시간으로 매매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언제든 돈을 인출할 수 있는 '파킹 통장'의 장점과 투자의 장점을 모두 갖춘 상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금리형 ETF는 기준금리가 마이너스가 되지 않는 한 손실 위험이 거의 없어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으며, 매일 이자수익이 발생하여 복리 효과를 누릴 수 있다는 큰 매력이 있습니다.
"돈은 1초도 놀면 안 된다"는 투자 격언처럼, 여유 자금을 잠시 보관하면서도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하고자 하는 분들께 최적의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안정성을 중시하는 투자자들 사이에서 금리형 ETF의 인기가 매우 높아지면서 관련 시장 규모도 130조 원을 돌파했다고 합니다.
2. 금리형 ETF 종류와 특징
2.1. 미국 SOFR 금리 연동 ETF
미국의 대표 무위험 지표금리인 SOFR(Secured Overnight Financing Rate)에 연동되는 ETF
구분 | 특징 |
개요 | 미국 재무부 증권을 담보로 한 익일물 대출 금리인 SOFR(Secured Overnight Financing Rate)를 추종, 달러 기반 자산에 투자하며 높은 안정성과 공신력을 인정받음 |
장점 | 비교적 높은 금리 수준을 기대할 수 있으며, 매일 이자 수취를 추구,미국 달러 자산을 보유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음 |
단점 | 환율 변동 위험(환노출)이 존재하며, 합성형 ETF의 경우 장외파생상품(스왑)을 활용하므로 파생상품 관련 위험이 있을 수 있음 |
👉 투자 포인트: 글로벌 금리 추세를 반영하고 달러 자산을 함께 보유할 수 있어 해외 분산투자를 원하는 투자자에게 적합
2.2. 국내 KOFR 금리 기반 ETF
한국형 단기 무위험 지표금리인 KOFR(Korea Overnight Financing Rate)에 연동되는 ETF
구분 | 특징 |
개요 | 국내 무위험 지표 금리(KOFR, Korean Overnight Financing Repo Rate)를 추종, 초단기 국채 환매조건부채권(RP) 거래를 기반으로 하여 CD금리 대비 변동성이 적고 안정적임 |
장점 | 매우 높은 안정성을 자랑하며, 매일 이자 수익이 발생하고, 투명성이 높고, 국내 자산에 투자하므로 환율 위험이 없음 |
단점 | CD금리 연동 ETF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익률을 보일 수 있음 |
👉 투자 포인트: 원화 기반의 안전자산 ETF로 단기적인 자금 운용에 적합하며, 예금 대체 상품으로 각광받고 있음
2.3. MMF형 ETF (단기 자산 투자 ETF)
단기 국채, 통안채, 금융채 등 초단기 자산에 투자하는 MMF형 ETF는 사실상 ‘ETF 파킹 통장’ 역할을 함
구분 | 특징 |
개요 | 머니마켓펀드(MMF)와 유사하게 잔존만기 6개월 미만의 단기채권, 기업어음(CP), 양도성예금증서(CD) 등 고유동성 자산에 주로 투자함 |
장점 | 높은 안정성을 바탕으로 매일 이자가 발생하며, 은행 파킹통장보다 높은 수익을 추구할 수 있음, 투자 한도 제약이 없고, ETF이므로 시장에서 실시간으로 매매하여 즉시 현금화가 가능함 |
단점 | 운용 자산의 편입 비중에 따라 드물지만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음(안정성은 높으나 완전 무위험은 아님), 시장 금리에 따라 수익률이 변동함 |
👉 투자 포인트: 대표적인 파킹형 ETF로, 여유 자금을 잠시 맡기기 좋은 상품으로, 은행 예금보다 유연하고, 단기 투자 목적으로 활용하기 최적화되어 있음
2.4. 국내 CD금리 연동 ETF
국내 시중은행에서 활용되는 CD금리(Certificate of Deposit)에 연동되는 ETF
구분 | 특징 |
개요 | 양도성예금증서(CD, Certificated of Deposit)의 금리를 추종함, 은행 등 금융기관이 발행하는 CD에 적용되는 이자율을 기반으로 하며, 고정금리 형태를 가짐 |
장점 | 높은 안정성을 제공하며, 시중 금리가 상승할 때 수익률도 함께 상승할 것을 기대할 수 있음, 금리형 ETF 중에서도 거래량과 시가총액이 큰 편에 속하는 상품들이 많음 |
단점 | KOFR 금리 연동 ETF에 비해 금리 하락기에 수익률 하락 폭이 클 수 있으며, 시중 금리 변동에 더 민감하게 반응함 |
👉 투자 포인트: 활용성은 있지만 KOFR 기반 상품에 비해 시장 경쟁력이 떨어질 수 있음
3. 국내 상장된 금리형 ETF 종류
3.1. 국내 상장 미국 SOFR 금리형 ETF 종류
종목코드 | 종목명 | 1년수익률(%) | 합성총보수 | 상장일 | 운용사 |
455030 | KODEX 미국달러SOFR금리액티브(합성) | 9.62 | 0.1800 | 2023.04.04 | 삼성운용 |
456610 | TIGER 미국달러SOFR금리액티브(합성) | 9.68 | 0.0800 | 2023.05.09 | 미래에셋운용 |
460270 | KIWOOM 미국달러SOFR금리액티브(합성) | 9.58 | 0.1900 | 2023.06.20 | 키움투자운용 |
456200 | PLUS 미국달러SOFR금리액티브(합성) | 9.52 | 0.1900 | 2023.05.09 | 한화운용 |
456880 | ACE 미국달러SOFR금리(합성) | 9.68 | 0.0800 | 2023.04.25 | 한국투자신탁운용 |
455960 | RISE 미국달러SOFR금리액티브(합성) | 9.75 | 0.0800 | 2023.05.16 | KB운용 |
3.2. 국내 상장 KOFR 금리형 ETF 종류
종목코드 | 종목명 | 1년수익률(%) | 합성총보수 | 상장일 | 운용사 |
423160 | KODEX KOFR금리액티브(합성) | 3.00 | 0.0600 | 2022.04.26 | 삼성운용 |
449170 | TIGER KOFR금리액티브(합성) | 3.01 | 0.0400 | 2022.11.30 | 미래에셋운용 |
479520 | RISE KOFR금리액티브(합성) | 3.00 | 0.0400 | 2024.04.30 | KB운용 |
453060 | HANARO KOFR금리액티브(합성) | 3.01 | 0.0800 | 2023.03.14 | NH-Amundi운용 |
453010 | PLUS KOFR금리 | 2.89 | 0.0600 | 2023.03.14 | 한화운용 |
3.3. 국내 상장 MMF형 ETF 종류
종목코드 | 종목명 | 1년수익률(%) | 합성총보수 | 상장일 | 운용사 |
0048J0 | KODEX 미국머니마켓액티브 | 3.37[3개월] | 0.0600 | 2025.05.13 | 삼성운용 [월배당] |
488770 | KODEX 머니마켓액티브 | 3.35 | 0.0600 | 2024.08.06 | 삼성운용 |
455890 | RISE 머니마켓액티브 | 3.39 | 0.0600 | 2023.05.09 | KB운용 |
0043B0 | TIGER 머니마켓액티브 | 0.71[3개월] | 0.0400 | 2025.04.22 | 미래에셋운용 |
479080 | 1Q 머니마켓액티브 | 3.37 | 0.0600 | 2024.04.02 | 하나운용 |
476450 | KIWOOM 머니마켓액티브 | 3.28 | 0.0700 | 2024.02.29 | 키움투자운용 |
487340 | ACE 머니마켓액티브 | 3.37 | 0.0700 | 2024.07.09 | 한국투자신탁운용 |
491230 | PLUS 국공채머니마켓액티브 | 0.67[3개월] | 0.0700 | 2024.09.10 | 한화운용 |
477050 | PLUS 머니마켓액티브 | 3.46 | 0.0700 | 2024.03.26 | 한화운용 |
486830 | HANARO 머니마켓액티브 | 3.38 | 0.0600 | 2024.07.16 | NH-Amundi운용 |
458030 | WON 국공채머니마켓액티브 | 3.27 | 0.0800 | 2023.05.31 | 우리운용 |
484890 | SOL 머니마켓액티브 | 3.02 | 0.0700 | 2024.06.25 | 신한자산운용 |
497880 | SOL CD금리&머니마켓액티브 | 0.75[3개월] | 0.0700 | 2024.11.26 | 신한자산운용 [월배당] |
3.4. 국내 상장 CD금리 연동 ETF
종목코드 | 종목명 | 1년수익률(%) | 합성총보수 | 상장일 | 운용사 |
459580 | KODEX CD금리액티브(합성) | 3.01 | 0.0300 | 2023.06.08 | 삼성운용 [월배당] |
481050 | KODEX CD1년금리플러스액티브(합성) | 2.95 | 0.0700 | 2024.04.23 | 삼성운용 [월배당] |
497880 | SOL CD금리&머니마켓액티브 | 0.75[3개월] | 0.0700 | 2024.11.26 | 신한자산운용 [월배당] |
499660 | TIGER CD금리플러스액티브(합성) | 0.65[3개월] | 0.0200 | 2024.12.17 | 미래에셋운용 [월배당] |
357870 | TIGER CD금리투자KIS(합성) | 2.96 | 0.0500 | 2020.07.07 | 미래에셋운용 |
475630 | TIGER CD1년금리플러스액티브(합성) | 3.03 | 0.0300 | 2024.02.06 | 미래에셋운용 |
477080 | RISE CD금리액티브(합성) | 2.99 | 0.0400 | 2024.03.26 | KB운용 |
491610 | 1Q CD금리액티브(합성) | 0.64[3개월] | 0.0300 | 2024.09.24 | 하나운용 |
458210 | KIWOOM CD금리액티브(합성) | 2.93 | 0.0600 | 2023.05.23 | 키움투자운용 |
4. 금리형 ETF의 매력적인 특징은?
금리형 ETF가 안정적인 투자 상품으로 각광받는 몇 가지 핵심적인 특징이 있습니다.
① 높은 안정성과 낮은 변동성: 주로 단기 우량 채권이나 RP 등 매우 안전한 자산에 투자하기 때문에 원금 손실 위험이 매우 낮음, 주식 시장의 급락에도 비교적 영향을 적게 받으며, 기준금리가 마이너스가 되지 않는 한 손실 위험이 없다고 평가됨
② 우수한 유동성: 증권시장에 상장되어 주식처럼 자유롭게 매수 및 매도가 가능하고, 일반 예적금처럼 만기까지 기다릴 필요 없이 필요할 때 언제든 현금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 긴급 자금이나 단기 여유 자금을 운용하는 데 매우 유용함
③ 매일 이자 수익 발생: 금리형 ETF는 보유 기간 동안 매일 이자 수익이 발생하며, 이는 순자산가치(NAV)에 반영됨, 일부 상품은 매월 분배금을 지급하기도 하므로, 꾸준한 현금 흐름을 기대할 수 있음
④ 분산 투자 효과: 하나의 ETF에 투자함으로써 여러 종류의 안전자산에 분산 투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개별 자산의 위험을 줄여주고 안정적인 수익률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됨
⑤ 세금 효율성 (보유 기간 과세): 매매차익에 대해서는 보유기간 과세 원칙에 따라 배당소득세(15.4%)가 부과돠고, 분배금 또한 배당소득세가 과세됨, 이는 장기 보유 시 과세 이연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투자자에게 유리할 수 있음
5. 나에게 맞는 금리형 ETF 선택 가이드
금리형 ETF를 선택할 때는 단순히 안정성만을 볼 것이 아니라, 자신의 투자 목표와 성향에 맞춰 몇 가지 요소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① 추종 금리 지표 확인: CD금리형 ETF는 시중 금리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KOFR금리형 ETF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고, 금리 변동성에 대한 본인의 선호도를 고려하여 선택
② 총 보수 및 운용 수수료: ETF는 운용 보수를 지급해야 하므로, 보수가 낮은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장기적인 수익률에 유리합함, TIGER CD금리플러스액티브(합성)의 경우 연 0.0098% 등으로 매우 낮은 수준임
③ 순자산 규모 및 거래량: 순자산 규모가 크고 거래량이 많은 ETF는 유동성이 풍부하여 원하는 시점에 매매하기가 용이함
④ 운용사 및 운용 방식: 믿을 수 있는 자산운용사에서 운용하는 상품인지, 그리고 합성 ETF 등 운용 방식이 자신의 투자 철학과 맞는지 확인하는 것도 좋고, 합성 ETF는 장외파생상품(스왑)을 활용하여 지수 수익률을 추종하는 방식임
6. 마무리 정리
금리형 ETF는 저성장·저금리 시대에 예적금을 대체할 수 있는 효과적인 안정 투자 수단입니다. 여유 자금을 은행에 두기에는 아쉽고, 그렇다고 고위험 투자에 나서기에는 부담스러운 분들에게 금리형 ETF는 '안정 속 수익'이라는 새로운 해답을 제시합니다. 언제든 자유롭게 사고팔 수 있는 유동성과 매일 쌓이는 이자 수익, 그리고 낮은 변동성은 투자자분들의 소중한 자산을 안전하게 지키면서도 꾸준히 성장시킬 수 있는 든든한 동반자가 되어줄 것입니다.
물론, 금리형 ETF가 완벽하게 무위험이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아주 드물지만 금리가 마이너스가 되거나, 발행 금융기관의 신용 위험, 또는 일시적인 시장 변동성 등으로 인해 아주 미미한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리스크는 매우 제한적이기에, 주식 시장의 급격한 변동에 대비하거나 단기 여유 자금을 효율적으로 운용하려는 안정 지향 투자자들에게 금리형 ETF는 충분히 매력적인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금리형 ETF는 단순히 “안전자산에 투자하는 ETF”가 아니라, 목적에 따라 활용도가 달라지는 똑똑한 투자 수단입니다. 단기 자금을 굴리려면 파킹형 ETF나 KOFR 기반 ETF가 유리하고, 글로벌 자산 분산을 원한다면 SOFR ETF를 검토하는 것이 좋습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안정성과 환율 리스크를 함께 고려해 자신에게 맞는 금리형 ETF를 선택하는 것이 핵심입니다.